맨위로가기

AFC 챌린지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FC 챌린지리그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신흥 국가 클럽팀들이 참가하는 국제 클럽 축구 대회이다. 2024년 이전에는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2014년 대회 우승팀은 AFC컵 플레이오프에 참가했다. 2024-25 시즌부터는 플레이오프를 거친 팀들이 조별 리그에 진출하며, 서아시아와 동아시아로 나뉘어 경기를 치른다. 우승팀은 다음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투 본선에 진출한다. 네팔, 몽골, 방글라데시 등 "비전 아시아" 정책에 따라 신흥 국가로 분류된 국가들의 클럽들이 참가하며, 괌, 북한 등은 클럽 라이선스 미보유로 인해 참가하지 못한다. 역대 우승팀으로는 레가르 타다즈 투르순조다, 도르도이 비슈케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폐지된 스포츠 행사 - AFC 챌린지컵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축구연맹에서 축구 수준이 낮은 국가들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개최한 국제 축구 대회로, 북한, 타지키스탄, 인도, 팔레스타인이 우승했으며 2014년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다.
  • 폐지된 AFC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했던 클럽 대항전으로, 1967년 시작하여 여러 명칭 변경을 거쳐 2002년 AFC 챔피언스리그로 통합되었으며, 대한민국, 일본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 폐지된 AFC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아시안 슈퍼컵
    아시안 슈퍼컵은 아시아축구연맹이 1995년부터 2002년까지 개최한 클럽 대항전으로,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팀과 아시안컵 위너스컵 우승팀이 맞붙어 합계 점수로 우승팀을 가렸으며, AFC 챔피언스리그 출범으로 폐지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와 대한민국이 최다 우승 국가이며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연속 우승 기록을 남겼다.
  • AFC 프레지던트컵 - 2014년 AFC 프레지던트컵
    2014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11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과 결선 토너먼트로 진행되었으며, 투르크메니스탄의 HTTU 아시가바트가 우승을 차지했다.
  • AFC 프레지던트컵 - 2013년 AFC 프레지던트컵
    2013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AFC컵 참가 자격이 없는 클럽들을 대상으로 캄보디아, 네팔, 필리핀에서 조별 리그, 말레이시아 믈라카에서 결선 리그가 개최되어 FK 발칸이 KRL FC를 꺾고 우승했으며, 미를란 무르자예프가 득점왕, 아미르 구르바니가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AFC 챌린지리그
기본 정보
명칭AFC 챌린지리그
대륙아시아 (AFC)
설립 연도2005년 (AFC 프레지던트컵 신설)
2024년 (AFC 챌린지리그 신설)
팀 수18
상위 리그AFC 챔피언스리그 투
리그 폐지2014년 (AFC 프레지던트컵 폐지)
최근 우승예디겐 FC (2014년)
최다 우승레가르 타다즈 (3회)
현재 시즌2024-25년 AFC 챌린지리그
영어 명칭AFC Challenge League

2. 대회 구성

AFC 챌린지리그의 대회 구성 방식은 시기에 따라 변화해왔다. 과거 AFC 프레지던트컵으로 운영될 당시에는 참가팀 수와 조별 리그 및 토너먼트 방식에 여러 차례 변경이 있었다. 2024-25 시즌부터 AFC 챌린지리그로 개편된 이후에는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 조별 리그를 치르고, 이후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린다. 자세한 대회 방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2024년 이전

2007년 대회까지는 8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고, 각 조의 1위와 2위 팀이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2008년 대회에는 참가 팀이 11개로 늘어나 3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준결승전에 직행하고, 각 조 2위 팀 중 가장 성적이 좋은 1개 팀이 나머지 준결승전 진출권을 획득했다.

2011년 대회부터는 팔레스타인의 신규 참가로 총 12개 팀이 참가하게 되었다. 대회 방식도 변경되어, 1차 조별 리그에서 각 조 1, 2위를 차지한 총 6개 팀이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2차 조별 리그는 3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결승전에 진출하여 우승팀을 가렸다.

이전까지 AFC 챌린지리그(과거 AFC 프레지던트컵)는 AFC 챔피언스리그 투(과거 AFC컵)와 연계되지 않았지만,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결정에 따라 2014년 AFC 프레지던트컵 본선 진출팀은 2015년 AFC컵 플레이오프에 참가했다.

2. 2. 2024년 이후

2024-25 시즌부터 AFC 챌린지리그 플레이오프 승자팀만 본선 조별리그에 진출한다. 본선 조 편성은 서아시아는 4팀씩 3개 조, 동아시아는 3팀씩 2개 조로 구성된다. 이후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며, 서아시아 팀은 팀당 3경기, 동아시아 팀은 팀당 2경기를 치른다. 서아시아에서는 각 조 1위 3팀과 조 2위 중 성적이 가장 우수한 1팀이 8강에 진출하고, 동아시아에서는 각 조 1위와 2위 팀이 8강에 진출한다.

8강부터 4강까지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결승전은 중립 지역에서 단판 승부로 치러져 우승팀을 가린다. 우승팀은 다음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투 본선 조별리그 진출 자격을 얻는다.

3. 참가 클럽 및 국가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비전 아시아" 정책에 따라 "신흥 국가"로 분류된 회원국의 클럽팀들이 참가 자격을 얻었다. 나머지 국가의 클럽팀들은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FC 챔피언스리그 투(과거 AFC컵)에 참가했다.

3. 1. 참가 클럽

챌린지리그(과거 프레지던트컵)에 참가하는 클럽들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속한 국가의 클럽팀으로 한정되었다. AFC의 모든 회원국 가운데 아시아 축구 연맹의 "비전 아시아" 정책에 따라 "신흥 국가"로 분류된 국가들이 참가했고, 나머지 국가의 클럽팀들은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FC 챔피언스리그 투(과거 AFC컵)에 참가했다. 신흥 국가들 가운데 합당할 만한 국내 축구 리그가 존재하는 국가의 우승팀만이 참가했다.

3. 2. 참가국

AFC 챌린지리그(과거 프레지던트컵)에 참가하는 클럽들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속한 국가의 클럽팀으로 한정되었다. AFC의 "비전 아시아" 정책에 따라 "신흥 국가"로 분류된 회원국의 클럽팀들이 참가 자격을 얻었다. 나머지 국가의 클럽팀들은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FC 챔피언스리그 투(과거 AFC컵)에 참가했다. 신흥 국가 중에서도 기준에 맞는 국내 축구 리그를 운영하는 국가의 우승팀만이 참가할 수 있었다.

3. 3. 대회 미참가국 (클럽 라이선스 미보유)

4. 역대 결과

(내용 없음)

4. 1. 대회 결과

(3위 결정전 없음)우승결과준우승2005년
상세정보네팔-- 레가르 타다즈3 - 0-- 도르도이 디나모-- 블루 스타 SC
-- 스리 스타 클럽2006년
상세정보말레이시아-- 도르도이 디나모2 - 1 (연장)-- 바흐시 쿠르곤텝파-- 케마라
-- 다퉁2007년
상세정보파키스탄-- 도르도이 디나모2 - 1-- 마헨드라 폴리스 클럽-- 라트남 SC
-- 레가르 타다즈2008년
상세정보키르기스스탄-- 레가르 타다즈1 - 1 (연장)
(승부차기 4 - 3)-- 도르도이 디나모-- FK 아시가바트
-- 마헨드라 폴리스 클럽2009년
상세정보타지키스탄-- 레가르 타다즈2 - 0-- 도르도이 디나모-- FK 아시가바트
-- WAPDA2010년
상세정보미얀마-- 야다나본1 - 0 (연장)-- 도르도이 비슈케크-- HTTU 아시가바트
-- 바흐시 쿠르곤텝파2011년
상세정보중화 타이베이-- 타이완 파워 컴퍼니3 - 2-- 프놈펜 크라운-- 발칸
--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결승 라운드 조별 예선 2위 팀)2012년
상세정보타지키스탄-- 이스티클롤2 - 1-- 마르카즈 샤바브 알아마리-- 도르도이 비슈케크
-- 타이완 파워 컴퍼니
(결승 라운드 조별 예선 2위 팀)2013년
상세정보말레이시아-- 발칸1 - 0-- KRL-- 에르침
-- 힐랄 알쿠드스
(결승 라운드 조별 예선 2위 팀)2014년
상세정보스리랑카-- HTTU 아시가바트2 - 1-- 리명수체육단-- 마낭 마르샹디 클럽
-- 셰이크 러셀
(결승 라운드 조별 예선 2위 팀)


4. 2. 클럽별 우승 횟수

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레가르 타다즈302005, 2008, 2009
도르도이 비슈케크242006, 20072005, 2008, 2009, 2010
야다나본102010
타이완 파워 컴퍼니102011
이스티클롤102012
발칸102013
HTTU 아시가바트102014
바흐시 쿠르곤텝파012006
네팔 폴리스 클럽012007
프놈펜 크라운012011
마르카즈 샤바브 알아마리012012
KRL012013
리명수체육단012014


4. 3. 국가별 우승 횟수

#국가우승준우승
1타지키스탄41
2키르기스스탄24
3투르크메니스탄20
4미얀마10
중화 타이베이10
6캄보디아01
네팔01
파키스탄01
팔레스타인0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